바라다, 사랑하다. 여기서 '라'를 '래'로 하는 건 안 되고 '하'를 '해'로 하는 건 된다는 국립국어원. 도대체 무슨 원리인지 알 수가 없다.
짜장면을 짜장면이라 부르지 못하게 하더니 이젠 바래를 바래라고 부르지 못하게 한다.
언어라는 건 시대에 따라 변할 수밖에 없다. '바래'를 '바라'라고 계속 쓰면 익숙해질까?
'습니다'를 '읍니다'라고 적으라고 하고는 '습니다'라고 발음하게 하는 게 정상이었나?
'가다'는 '가래'가 되고 '하다'는 '해'가 되는 이유를 들어보면 또 골때린다. 불규칙이란다.
그럼 바라가 바래가 되는 것도 불규칙 아닌가? 누구는 불규칙이 되고 누구는 불규칙이 안 되고, 이거 누구 맘이지?
'짜장면'을 '짜장면'이라고 부르지 못할 때도 난 '짜장면'이라고 썼다. '짜장면'이 맞으니까.
'바래'를 '바래'라고 부르지 못한다 해도 난 '바래'라고 쓴다.
세상은 나같은 사람이 있어야 진보한다.
Comments 4
[US$15.50](▼57%)[xiaomi]2020최신출시 샤오미 Qualitell 벽걸이 전기 모기채 1 1 2개 배송/ 1달 이내 무상 교환 / 벽걸이 거치대 충전거치대 포함
WWW.QOO10.COM국립국어원... 닭도리탕에서 이미 포기...
https://www.nocutnews.co.kr/news/4601388
정상적인 기관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
@naha transfered 16 KRWP to @krwp.burn. voting percent : 100.00%, voting power : 77.13%, steem power : 1990649.44, STU KRW : 1200.
@naha staking status : 8000 KRWP
@naha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: 16 KRWP (rate : 0.002)
What you sent : 16 KRWP (Voting Percent over 100 %)
Refund balance : 1.486 KRWP [49495196 - 87e7a29dece4ca9478e76fc0da47dafcca7b11cd]